Skip to main content
MBTS logo link to homepage

Faculty

Sung Jin Park

[email protected]

박성진 교수
아시아부 학장/구약 및 히브리어 교수
Ph.D.: 히브리 유니온 칼리지(유대학 종교연구소)-구약과 고대근동학, 2012
M.Phil.: 히브리 유니온 칼리지(유대학 종교연구소)-구약과 비교셈족언어학, 2010
Th.M.: 달라스신학교-구약과 신약, 2004
M.S.: 포항공과대학교-재료공학, 1993
B.S.: 한양대학교-재료공학, 1991

박성진 교수는 현대자동차 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6년간 재직 중, 하나님 나라의 사역에 매료되어 이에 순종하고자 신학의 길로 접어 들었다. 달라스신학교에서 신, 구약 전공으로 신학석사학위(Th.M.)를 받았으며, 히브리어와 사랑에 빠져 유대학 종교연구소인 히브리 유니온 칼리지에서 비교셈족언어학과 고대근동학으로 석사(M.Phil.)와 박사학위(Ph.D.)를 받았다. 세계적인 구약저널인 ZAW, Ugarit Forschungen, Biblica, Journal of Northwest Semitic Languages, Hebrew Studies 등에 다수의 글을 올렸으며 Journal for the Evangelical Study of the Old Testament의 편집위원으로 있다. 모세오경과 지혜문학, 그리고 타이베리안 강세에 따른 석의연구에 관심이 있다. 날마다 하나님의 긍휼 속에 그 분의 기쁨이 되는 삶을 살고자 한다. 미드웨스턴 아시아부의 학장으로 구약을 가르치고 있다.

저서:
The Fundamentals of Hebrew Accents: Divisions and Exegetical Roles beyond Syntax (New York,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0).
Typology in Biblical Hebrew Meter: A Generative Metrical Approach (Lewiston, NY: Edwin Mellen, 2017).
“Biblical Hebrew Poetry”, in “Where Shall Wisdom Be Found?” A Grammatical Tribute to Professor Stephen A. Kaufman (eds. Hélène Dallaire, Benjamin Noonan, and Jennifer E. Noonan; Winona Lake, IN: Eisenbrauns, 2017), 289-316.

학술 논문:
“On the Disparity of Penalties in Deuteronomy 22:13-21,” Vetus Testamentum 75/3 (2025): 1-22.
“You Shall Purge Evil among You: The Legal Omissions and Reconstructions of Illicit Sex Laws in Deuteronomy 22:22-29,” Catholic Biblical Quarterly 87/1 (2025): 20-38.
“Temporal Disjunction Unveiled in Narratology: The Hidden until Revealed (HUR) Technique in Exodus 2,” Biblica 105/2 (2024): 155-170.
“The Validity of the Phonetic Value Changes of Shewa in Various Tiberian Accentual Contexts,” Hebrew Studies 60 (2019): 333-355.
“Pointing to the Accents in the Scroll: The Functional Development of the Masoretic Accents in the Hebrew Bible,” Hebrew Studies 55 (2014): 73-88.
“The Text and Translations of Job: A Comparative Study on 11QtgJob with Other Versions According to Translation Techniques,” Journal for the Evangelical Study of the Old Testament 2/2 (2013): 165-190.
“Application of the Tiberian Accentuation System for Colometry of Biblical Hebrew Poetry,” Journal of Northwest Semitic Languages 39/2 (2013): 113-128.
“A New Historical Reconstruction of the Fall of Samaria,” Biblica 93/1 (2012): 98-106.
“The Cultic Identity of Asherah in Deuteronomistic Ideology of Israel,” Zeitschrift für die alttestamentlich Wissenschaft 123/4 (2011): 553-564.
“Short Notes on the Etymology of Asherah,” Ugarit Forschungen 42 (2010): 527-534.

Over 20 book reviews from Review of Biblical Literature, Bulletin for Biblical Research, Journal of the Evangelical Theological Society, and Journal for the Evangelical Study of the Old Testament.


Junghoon “Rio” Kim


[email protected]

김정훈 교수
아시아부 부학장/교육학 교수
Ed.D.: 미드웨스턴 침례신학대학원, 2021
M.Div.: 총신신학대학원, 2010
B.A.: 한동대학교, 2006

김정훈 교수는 건축 설계를 전공하고 건축 사무소에 근무하던 중 ‘하나님의 나라를 건설하라’는 하나님의 부르심에 신학공부를 시작하게 되었다. 다음세대를 신앙의 세대로 구비시키며, 교회와 가정을 있는 브릿지 사역을 위해 한국과 미국에서 예배 및 청소년 사역에 헌신해왔다. 2013년 1월부터 미드웨스턴 침례신학대학원 아시아부의 아카데믹 코디네이터로 섬겨왔으며 2022년 5월부터 아시아부의 부학장으로 재직하며 교수 지원 및 행정 그리고 교육인가(HLC & ATS) 등을 담당하고 있다. 박사원과 석사원에서 제자도와 학문적 글쓰기에 대해 강의하고 있으며, 홍보를 위한 각종 디자인 및 이벤트 기획 등도 맡고 있는 중요한 업무이다. 사랑하는 아내 조혜준과 슬하에 두 딸 주연과 주아를 두고 있으며 하나님께서 가정과 사역을 통해 허락하시는 큰 기쁨을 날마다 누리는 중이다.

언론 매체 칼럼:
김정훈, “빠던을 즐길 준비가 되었는가?” 미주 기독일보 (May, 2020)


Buck Seung Sung

[email protected]

성백승 교수
목회 및 실천신학 교수
Ph.D.: 미드웨스턴 침례신학대학원, 2019
Th.M.: 미드웨스턴 침례신학대학원, 2019
D.Min.: 미드웨스턴 침례신학대학원, 2011
Ph.D.: 서던침례신학대학원(수료), 1998
M.Div.: 서던침례신학대학원, 1993
M.A.: 아주사 퍼시픽 대학교, 1986
B.A.: 한국침례신학대학교, 1983

성백승 교수는 1995-1999년까지 서던침례신학대학원에서 한국부 디렉터로 섬겼으며 지난 30년간 이민 목회사역을 담당했다. 이런 풍부한 사역 경험을 바탕으로 교단 총회 및 지방회를 중심으로 목회자들을 지도해오고 있다. 현재는 미드웨스턴 한국부에서 박사논문 지도 및 실천신학 분야를 강의하고 있으며 해당 분야를 지속적으로 연구, 집필하고 있다. 주요 연구분야는 도시 교회 개척론, 교회 최적화 모델론, 성경적 리더십, 전도학, 효과적인 논문쓰기 등으로 사역현장과 신학교에서의 오랜 경험을 통하여 ‘교회를 위한 신학’과 ‘신학이 있는 교회’의 균형있는 통합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저서:
「개척학 개론」 요단출판사, 2019.

언론 매체 컬럼:
“개척, 철저히 준비한 사람만이 살아 남는다”. 기독일보 (Feb., 2019~ )


Jeeyoung An

[email protected]

안지영 교수
한국부 목회 돌봄과 선교 교수
D.Min. : 미드웨스턴침례신학대학원, 2017
M.Div.: 사우스웨스턴침례신학대학원, 2004
M.A. in Linguistics: UT Arlington, 1984
B.S.: 연세대학교 공과대학 식품생물공학, 1981

안지영 교수는 평신도로서 위클리프성경번역선교회 선교사로서 16년 동안 파푸아뉴기니의 과하티케 부족과 함께 하면서 그들의 언어로 신약성경을 번역했다. 그와 함께 그들 중 다른 부족에 들어가서 그들의 언어로 성경을 번역하도록 훈련하였다. 또한 그들을 중심으로 토착교회가 세워지도록 도움을 주었다. 성경번역 선교사로 사역을 하던 중에 주께서 목회의 비전을 주셔서, 성경번역 사역이 마무리된 후에 신학교에 들어가 목회자가 되는 과정을 밟고 달라스에 2004년에 나눔교회를 개척하여 2023년까지 섬겼다. 은퇴 후 가르치는 사역과 교회 개척에 직간접으로 돕고 있으며, 선교사들을 돕는 목회 사역을 준비하고 있다. 가장 좋아하는 일은 소그룹으로 성경을 가르치는 일이다.

저서:
안지영. 「당신과 함께 나누고 싶은 특별한 이야기들: 아브라함 편」 서울: 요단출판사, 2021.


Joyce Youngju Park

[email protected]

박영주 교수
교육학 교수/스펄전칼리지 한국부 디렉터
Ph.D.: 컬럼비아 인터내셔날 대학교, 2011
M.S.: Cairn 대학교, 2003
B.A.: 서울교육대학교, 1985

박영주 교수는 스펄전 대학교 한국부의 디렉터이다. 기독교 교사를 양육하는 다양한 교육 세션을 기획하여 제공하는 한국 기독교 교육의 전문가이다. 한국 기독교 세계관 학회 이사 및 Faith and Life 잡지의 편집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박영주 교수는 10년 넘게 수원중앙기독초등학교 교장을 역임했으며, 강사 및 고문으로 국제 기독교학교 협회와 협력하여 한국 기독교 학교 운동을 적극적으로 이끌고 있다. 또한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에서 조교수로 재직했으며, 현재 횃불 트리니티 대학원 대학교의 객원 교수로 재직 중이다. 박영주 교수의 목표는 성경적 관점에서 어린이를 위한 동화책을 쓰는 것이다. 조카들과 노는 것, 그리고 청년들과 하나님 나라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을 즐긴다.


Minjae “Jay” Kwon

[email protected]

권민재 교수
한국부 석사원 디렉터/교육학 교수
D.Ed.Min.: 미드웨스턴 침례신학대학원, 2021
M.Div.: 한국침례신학대학원, 2013
B.A.: 국립 한밭대학교, 2010

권민재 교수는 한국침례신학대학원에서 M.Div과정을 공부하면서 기독교 교육에 대한 소명을 받게 된다. 이후 다음세대 전문 교육기관인 ‘파이디온 선교회’에서 강사와 대전 지역 총무로 섬기며, 신학교와의 연계를 통한 신학생 교육, 지역 교회 전문 사역자, 평신도 교육 리더를 위한 여러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진행하였다. ‘교사가 변화되어야 다음세대가 변화된다.’ 신념으로 교재 집필을 하였으며, 파이디온 선교회 사역 이후 미드웨스턴침례신학대학원에 입학해서 교육목회학 박사과정을 졸업했다. 주요 연구 관심 분야는 교육심리학과 기독교 교육 철학이며 현재 기독교 교육 심리학, 연령별 그룹 사역 등의 과목을 강의하면서 한국부 석사과정 디렉터로 섬기고있다.

저서(공동저서):
김진현. 백은정. 권민재. 「두근두근 신입교사」 파이디온선교회, 2016.


Hyuksoo “Brian” Kwon

[email protected]

권혁수 교수
아시아부 박사원 디렉터/교회와 선교 교수
Ph.D. candidate: 미드웨스턴침례신학교-선교학
서초 예수소망교회 담임목사, 2014-2020
D.Min.: 풀러신학교-선교학, 2012
M.Div.: 풀러신학교, 2004
B.S.: 한양대학교 정밀기계공학, 1996

권혁수 교수는 기계공학을 전공 후에 하나님께서 선교로 부르신다는 소명을 받고, 풀러신학교에서 신학과 선교학을 공부했다. 로스앤젤레스에 있는 이민교회들을 섬겼고 베다니한인교회와 LA사랑의교회에서 EM을 세우기도 했다. 그 과정에서 선교학으로 1세와 2세의 문화적 차이를 연구하고 세대간 다리를 놓는 사역에 관심을 가졌다. 2012년에 한국의 다음 세대가 신앙에서 점점 멀어진다는 것을 알고 하나님께서 그들을 위한 사역으로 부르신다는 확신을 가지고 한국에 돌아가 교회를 개척했다. 선교학적인 방법론으로 비신자들의 공동체를 세우기, 소그룹 배가 운동, 미군 위안부 사역, 뇌전증 소아와 그 가족을 위한 사역, 가나안 MZ세대 제자 훈련 등을 해왔다. 이러한 사역 이면에는 “리더를 세워 하나님의 나라의 일을 하게 하는 것”이라는 인생 소명이 있다. 현재는 밀레니얼 세대 사역자들과 DMM(Disciple Making Movements) 훈련을 하고 있으며, 미드웨스턴침례신학교에서 가르치고 있다.


Chang Gun Song

[email protected]

송창근 교수
한국부 한국지역 디렉터/교회와 선교 교수
Ph.D.: 주안대학원대학교-선교학, 2024
M.Div.: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1996
B.A.: 계명대학교 역사학, 1991

송창근 교수는 안산동산교회에서 부목사로 9년간 사역하며, 미래목회연구소장과 청년부 담당으로 셀 목회와 큰 숲 운동(교회 분립 개척 사역)을 이끌었고, 그 DNA를 한국교회에 소개하는 사역을 했다. 2009년, 서울의 홍대거리에서 술집을 뜯어 이머징 처치인 “블루라이트 교회”를 개척했고, 엔터테인먼트와 공연장을 운영하며, 아티스트와 문화기획자들과 협력하여 홍대거리에 건강한 예술 문화의 정착을 위해 사역했다. 2015년, 강남에서 MZ세대, 싱글, 젊은 부부, 유학생들을 위한 선교적 교회인 “블루라이트 강남교회”를 개척하였다. 은사 중심의 평신도 사역을 하고 있고, 도시의 다양한 장소에서 단순하고 쉽게 개척할 수 있는 선교적 교회 개척 모델에 집중해 왔다. 2016년부터 “세.뛰.새 KOREA” 대표로 사역하며, 여러 교단의 리더와 네트워크를 연결하여 세대, 교회, 지역을 새롭게하는 플랫폼 사역을 통해 한국교회와 지역사회를 섬기는 운동을 하고 있다. 이런 사역 경험을 기반으로 미셔널 커뮤니케이션의 관점에서 “한국 선교적 교회의 현장화”라는 주제로 선교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저서 및 공저서:
송창근, 『셀교회로 교회 영성을 회복하라』, 서울: 두란노서원, 2009.
송창근, “세상 한 중간의 교회: 선교적 교회를 향한 블루라이트 교회의 여정,” 이박행·양현표 편집, 『교회자립 개발원 총서 1: 겸직목회: 목회와 또 다른 소명을 논하다』, 서울: 솔로몬출판사, 2022, 346-360.
송창근, “선교적 예배,” 주안대학원대학교 편집, 『선교하는 교회에서 선교적 교회로: 선교적 교회의 9가지 주제』, 인천: 주안대학원대학교출판부, 2021, 63-84.
송창근, “새로운 도전을 위한 하나 됨,” 한국선교신학회 & 세뛰새 KOREA 편집, 『한국적 선교적 교회 자리매김 총서 1: 선교적 교회 바로 알고 시작하기』, 서울: 꿈을이루는사람들, 2020, 93-123, 229-269.

학술 논문:
송창근, “세대, 이념, 양극화의 경계를 극복하는 한국 선교적 교회의 현장화 연구: 미셔널 커뮤니케이션을 중심으로,” 미간행 박사학위 논문, 주안대학원대학교, 2024.
송창근, “큰 숲 운동과 선교적 교회 개척: 안산동산교회의 교회 분립과 개척 사역을 중심으로,” 2023년 제 1차 한국선교신학회 정기학술대회, 2023. 2. 25.
정승현·송창근, “선교적 교회의 현장성(contextuality)에 관한 소고: 블루라이트교회를 중심으로,” 「선교신학」제63집, 2021, 293-320.

언론 매체 컬럼:
송창근, “도시와 새로운 교회,”「월간목회」, 2019년 2월, 50-57.
송창근, “셀 목회의 3단계 로드맵: 전환, 정착, 열매”「목회와 신학」, 2013년 9월, 60-64.
송창근, “교회성장, 30주년 특집 베스트 7: 다음세대! 소통하는 교회에 희망이 있다.” 「교회성장」 ,2013년 1월, 100-103.
송창근, “창의적 도시교회 개척, 왜 그리고 어떻게: Blue light Church,”「목회와 신학」, 2012년 6월, 90-97.
“세뛰새 ‘지방 교회 살리기’ 2차 사역”「기독신문」, 2025. 1. 14.
“광주 선교 120주년 ‘광주 다움 & 다음’ 포럼”「미션 21」, 2024. 6. 10.
“50년 된 놋그릇 외 여러 그릇 쓰자! 다양한 목회 필요”「국민일보」, 2022. 8. 7.
“교단, 세대, 이념을 뛰어넘어 한국교회의 미래 고민”「국민일보」, 2021. 1. 29.
“차이와 다름을 뛰어넘는 새로운 교회 플랫폼, ‘세뛰새KOREA’를 주목한다.”「웨슬리안타임」, 2021. 1. 11.
“건물 없이 삶의 현장에서 하나님 증언하는 선교적 교회”「기독일보」, 2020. 9. 3.
“목회의 새로운 방향과 돌파구를 제시하겠습니다.”「침례신문」, 2020. 7. 29.
“세대, 이념, 지역 넘어선 새 사역 플랫폼 만들자’”「국민일보」, 2019. 6. 13.
“시대 지역에 맞는 교회의 새 표현 방식 필요”「기독연합신문」, 2015. 3. 2.
“복음 ‘떼창’하는 공연장 교회, 노랑머리 목사님’”「조선일보」, 2013. 1. 3.
“홍대 앞 기독 뮤지션들 “성탄을 뜻 깊게”… 똘똘 뭉쳐 ‘락미지저스’ 기부 공연”「국민일보」, 2010. 12. 26.
블루라이트 교회 송창근 목사, CBS 새롭게 하소서, 2016. 8. 22.


John Lee

[email protected]

이장렬 교수
미국부 신약학 교수
Ph.D.: 에딘버러 대학교, 2011
튀빙엔대학교에서 연구, 2008~2009
M.Div.: 서던 침례신학대학원, 2004
B.M.: 서울대학교, 1999

이장렬 교수는 미국부 소속의 신약학 교수로 고급 성경해석학, 공관복음과 사도행전, 요한문헌, 바울서신, 초급/중급/고급 헬라어, 마가복음 원전석의 등 다양한 신약학/성서학 과목들을 가르치고 있다. 또한 미국부에서 여러 성서학/신약학 Ph.D. 논문을 지도하고 있다. 주로 미국 학생들을 지도하지만, 매학기마다 ‘신앙과 실천의 통합’ 과목 한국어 공동강의를 겸하고 있다. 2014년 본교 ‘올해의 교수(Professor of the Year)’로 선정된 바 있으며, 연구 분야는 복음서, 신약의 기독론, 유대교/기독교 유일신론, 메시야 언어 및 사상, 성서 헬라어를 포함한다. 전미성서학회(SBL)와 한국의 복음주의 신약학회에서 논문을 발표했고, 미국복음주의신약학회(ETS)에서 정기적으로 논문을 발표하고 있다. 미국복음주의신학회의 연례미팅 신약 세션 프로포절 심사위원을 지냈으며, <신약연구>(한국 연구재단 등재학술지) 편집위원을 역임한 바 있다. 한국, 영국, 미국에서 한어 회중과 영어 회중을 섬겼고, 현재 캔사스시티 한인침례교회에서 협동목사로 섬기고 있다. 그는 ‘교수’라는 호칭보다 ‘목사’라는 호칭을 더 좋아하고 또 한층 더 영예롭게 생각한다.
목사 이장렬은 학생들과 성도님들 그리고 가족의 사랑을 듬뿍 받으며 주의 은혜로 숨쉬며 살고 있다고 고백한다. 그가 하루 중 가장 좋아하는 시간은 성경을 읽거나 묵상할 때 그리고 패밀리타임(family time)이다. 상담사인 아내를 사모하고 존경하며 아들에 대해 극도로 자랑스럽게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얼핏 보면 진지한 인상을 주긴 하지만, 사실 노는 것, 쉬는 것, ‘먹방’을 지나치게 좋아하고, 여유 있는 산책과 대화를 즐긴다.

저서 및 공저서:
The Divine Christology of the Apostle Paul — (IVP Academic, forthcoming)
Intermediate Greek Workbook (title: TBD) — (B&H Academic, forthcoming)
A Ransom for Many: Mark 10:45 as a Key to the Gospel — (Lexham Press, 2023)
Christological Rereading of the Shema in Mark’s Gospel — (Mohr Siebeck, 2020)
여러 국문 저서 및 공저서: 바로가기

언론 매체 칼럼:
이장렬 “2023년 고난주간 묵상 가이드” 미주기독일보(시리즈 연재, 완료)
이장렬, “바디매오와 제자도” 미주침례신문/크리스천헤럴드 (시리즈 연재, 완료)
이장렬, “회복의 복음” 미주침례신문/미주기독일보 (시리즈 연재, 완료)
이장렬, “삭개오의 복음” 미주침례신문/미주기독일보 (시리즈 연재, 완료) 등 다수

학술지논문, 학회발표논문, 서평을 포함한 다수의 글
(Dr. John Lee’s Faculty Page)


Sanghwan Lee

[email protected]

이상환 교수
한국부 성경해석학 교수
S.T.M.: 달라스신학교, 2017
M.Div.: 사우스웨스턴 침례신학대학원, 2010
B.S.: 달라스 침례대학교, 2006

이상환 교수는 성경 배경지식,특히 원독자들의 신관에 대한 연구에 관심이 있다. 그는 성경의 저자들이 참 하나님을 증거하기 위해 고대근동 신화, 제2성전기 신화, 그리고 그레코-로만 신화를 논쟁적으로 해체한다고 보고, 이러한 저자들의 노력을 이해하기 위해 원독자들이 살았던 시대의 배경지식을 풍부하게 구축하는데 많은 시간을 투자한다. 그가 JTS, Biblica, JSNT, JSOT, NovT, Religions, JAJ, JGRChJ 에서 출판한 학술 논문들은 이와 같은 그의 노력을 보여준다.

저서와 역서:
이상환 「아이가 묻고 아빠가 답하다」 서울: 도서출판 학영, 2024.
이상환 「신들과 함께」 서울: 도서출판 학영, 2023.
이상환 「Re: 성경을 읽다」 서울: 도서출판 학영, 2023.
이상환 「하나님의 성호: 히브리어 편」 캔들신학, 2015.
이상환 「유다서: 원문 주해에서 설교까지」 캔들신학, 2016.
이상환 역 「바울이 전하는 세 가지 구원의 길」 서울: 도서출판 학영, 2023.; Gabriele Boccaccini, Paul’s Three Paths to Salvation Grand Rapids: Eerdmans, 2020.

학술 논문:
“Reexamining the Greek-Speaking Ability of Peter in Light of a Sociolinguistic Perspective,” Journal of Greco-Roman Christianity and Judaism 14 (2018): 158–81.
“Defending Multilingual Galilee from its Literary and Archaeological Objections,” Journal of Greco-Roman Christianity and Judaism 16 (2020): 183–99.
“Making Sense of the Optical Punishment of the Watchers in Light of Ancient Ocular Theories” Journal of Ancient Judaism 12 (2021): 1–31
“An Illiterate Fisherman and Impressive Letter: A Dialogue with Bart D. Ehrman,” Journal of Greco-Roman Christianity and Judaism 17 (2021): 38–61.
“An Examination of the Punishment Motif in the Book of the Watchers 10:4–8 in Light of Greek Myths,” Journal of Ancient Judaism 13 (2021): 27–51.
“Jesus, the Holder of the Seven Stars in His Right Hand: An Examination of Rev 1:16a in Light of Numismatic Evidence,” Novum Testamentum 14 (2022): 27–51.
“An Examination of the Punitive Blindness of Asael in Light of the Triadic Relationship between Sight, Light, and Knowledge,” Journal of Ancient Judaism 13 (2022): 151–185.
“Moses, the Lifter of the Sky: A Novel Reading of Exodus 17:8–16 in Light of the Heliopolitan Cosmogony,” Journal for the Study of the Old Testament 47 (2022): 56–81.
“Killing Pharaohs in Exodus: The Anonymity of the Egyptian Kings, the Deconstruction of Their Individuality, and the Egyptian Practice of Damnatio Memoriae,” Religions 14.165 (2023): 1–17.
“The Journey through the Netherworld and the Death of the Sun God: A Novel Reading of Exodus 7-15 in Light of the Book of Gates,” Religions 14.343 (2023): 1–30.
“The Most High God vs. Nabû: A God of Letters, Wisdom, and Fate Who Can(not) Read, Understand, or Foretell,” Journal for the Study of the Old Testament (2023): 18-35.
“Modest Jesus vs. Luxurious Satan: A Novel Reading of Matthew 4:1–11 in Light of Ancient Battle Narratives,” Biblica (2023): 233-54.
“Understanding the Abyssal Forces in the Fifth Trumpet Judgment (Revelation 9.1–12) in Light of the Demonology of Jubilees,” Journal for the Study of the New Testament (2023): 451-474.
“Jesus vs. Seth-Typhon: An Audience-Critical Approach to Mark 4:35–5:20,” Journal of Theological Studies (2024): 1-16.


Chang Hyun Oh

[email protected]

오창현 교수
Ed.D.: 미드웨스턴침례신학대학원, 2024
D.Min. in Care & Counseling: 미드웨스턴침례신학대학원, 2020
Th.M.: 숭실대학교 기독교학대학원, 2004
M.Div.: 한일장신대학교 신학대학원, 2006
B.A.: 한일장신대학교, 2000

오창현 교수는 미드웨스턴 침례신학교 한국지역 코디네이터이다. 교회 사역의 현장에서 목회상담의 중요성을 알게 되어 목회상담학 박사 과정을 거쳐 한국의 상담사역 아카데미 ‘Jesang’ 기관에서 3년 동안 성경적 의사소통 과목을 가르쳤다. 현재 한국에서 심리학 전문 인터넷 신문매체 ‘The Psychology Times’에서 전문위원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상담 전문 교육기관 ‘한국HRD능력개발원’에서 교수로 활동하고 있다. 또한 뮤지컬 중심의 공연예술과 교육을 접목하여 연령별 특성화 문화예술교육을 진행하고 있으며, 뮤지컬 전문 제작 단체인 아트컴퍼니 ‘두루’의 대표로 재직 중에 있다. 연극과 뮤지컬을 통해 효과적인 복음 전파에 노력하고 있으며, 문화예술과 교육을 융합하여 지역사회의 가정 회복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오창현 교수는 아내 정환과 세 자녀 엘림, 우림, 한음을 슬하에 두고 있다. 교회와 소공동체의 코이노니아를 활성화하는 목적으로 12주간 성경적 의사소통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현재 「마음 알아주기와 심정대화」라는 책을 집필 중에 있다.